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주제별 큐레이션

상임위원회별 최신 자료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The challenge of grids in the clean industrial deal and affordable energy action plan : an incomplete answer to a key problem

국가전략정보포털

기후위기와 탄소중립 대응. 2,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산업별 과제와 대응 방안

국가전략정보포털

기후위기와 탄소중립 대응. 1, 총론

국가전략정보포털

기후위기와 탄소중립 대응. 6, 해외 주요국의 탄소중립 정책

국가전략정보포털

기후위기와 탄소중립 대응. 5, 기후위기 대응 거버넌스 개편 동향 및 시사점

국가전략정보포털

해외 불법 복제 웹사이트 접속 차단 : 미국 의회의 오랜 과제

국가전략정보포털

기후위기와 탄소중립 대응. 4, 주요국의 국가감축목표 논의동향과 국회의 역할

국가전략정보포털

기존 시설물(기초 및 지반) 내진성능평가 예제집

국가전략정보포털

정책건의 자료집 : 2025년 제1차 : 안보환경 대격변기 통일공감대 확산 방안

국가전략정보포털

신영역 작전개념과 연계한 한반도 미사일 전략 연구

국가전략정보포털

2025 한반도 정세 전망

국가전략정보포털

기후위기와 탄소중립 대응. 3,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책 및 재정사업 분석

국가전략정보포털

The World Bank Group Annual Report 2025 : Creating Jobs, Growing Economies

국가전략정보포털

Out of balance: What’s next for growth, wealth, and debt?

국가전략정보포털

Elevating Cybersecurity: Ensuring Strategic and Sustainable Impact for CISOs

국가전략정보포털

Legacy or Liability? Auditing U.S. Alliances to Compete with China

국가전략정보포털

Global Trade Outlook and Statistics : October 2025 Update

국가전략정보포털

Renewables 2025

국가전략정보포털

Proposal for a REGULATION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addressing the negative trade-related effects of global overcapacity on the Union steel market

국가전략정보포털

Navigating Disruption : Ally and Partner Responses to U.S. Foreign Policy

국가전략정보포털

김정은 국무위원장, 중국 전승절 참석의 전략적 의미와 대응방안

국가전략정보포털

아동·청소년 삶의 질. 2025

국가전략정보포털

(2024) 심리부검 면담 결과 보고서

국가전략정보포털

Wait and Watch: Steering Monetary Policy Under Balanced Inflation Risks

국가전략정보포털

The COP30 Climate Change Conference – Part I: Framework of COP negotiations and main expected issues

국가전략정보포털

AI 선도 프로젝트 추진계획 : AI 선박·드론 분야

국가전략정보포털

북한의 러시아 참전군 ‘영웅화’ 전략

국가전략정보포털

러시아는 왜 북한 ‘군인 노동자’를 선호하는가

국가전략정보포털

『KEDI Brief』 제15호 "디지털 교육, 새로운 기회의 확대인가, 격차의 또 다른 이름인가?"

국가전략정보포털

“고립·은둔·고독의 대한민국”, 사회적 연결 회복을 위한 입법·정책 과제

국가전략정보포털

신간도서

노르웨이의 탄소포집저장 프로젝트 - 국회도서관, 『최신외국정책정보』(2025-18호, 통권 제18호) 발간

국회도서관(관장 황정근)은 9월 30일(화) ‘노르웨이의 탄소포집저장 프로젝트’를 다룬 『최신외국정책정보』(2025-18호, 통권 제18호)를 발간했다.

노르웨이는 강력한 탄소세 도입과 오랜 기술력 축적을 바탕으로 유럽 탄소 포집 및 저장(Carbon Capture Storage, 이하 CCS)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지난 1991년부터 이산화탄소 배출에 세금을 부과하며 기후 정책의 기반을 다져온 노르웨이는, 정부 주도의 대규모 프로젝트를 통해 CCS 기술을 기후변화 대응의 핵심 수단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특히 북해 대륙붕 아래에 위치한 다공성 사암층은 이산화탄소 저장에 최적의 조건을 제공하며, 지질학적으로 안정되어 지진 위험이 낮다는 점에서 노르웨이를 CCS 허브로 성장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1996년 세계 최초의 상업용 CCS 프로젝트인 ‘슬라이프너(Sleipner)’를 착수한 노르웨이는 지난 2007년 ‘스노빗(Snøhvit)’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가동시키며 20년 이상 CCS 기술과 안정성을 검증한 바 있다. 2020년에는 약 27억 달러 규모의 탄소 포집, 운송, 저장에 이르는 전 과정에 정부와 민간 기업이 협력한 국가 프로젝트인 ‘롱쉽(Longship)’ 프로젝트와 ‘노던라이츠(Northern Lights)’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는 세계 최초의 완전 규모(Full-Chain) CCS 프로젝트로, 유럽의 탄소 시장을 활성화하려는 노르웨이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오유빈 해외자료조사관은 본 보고서를 통해 “노던라이츠의 확장개념으로 ‘CO₂하이웨이 유럽(CO₂Highway Europe)’ 프로젝트도 추진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벨기에와 독일의 산업 클러스터에서 노르웨이 대륙붕의 저장소까지 대규모 해상 파이프라인을 건설해 장거리 운송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적인 대용량 탄소 운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CO₂하이웨이 유럽 프로젝트를 통해 노르웨이는 유럽 산업계의 탈탄소화를 지원하고,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현은희 국회도서관 의회정보실장은 “노르웨이는 롱쉽, 노던라이츠 그리고 CO₂하이웨이 유럽 프로젝트를 통해 탄소절감에 있어 더욱 선도적인 입지를 다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끝>

2025.09.30

데이터로 보는 범죄피해자 보호 - 국회도서관, 『Data & Law』(2025-10호, 통권 제35호) 발간

국회도서관(관장 황정근)은 9월 24일(수) ‘데이터로 보는 범죄피해자 보호’를 주제로 『Data & Law』(2025-10호, 통권 제35호)를 발간했다.

범죄피해자는 신체적·정신적 고통뿐 아니라 경제적 어려움에도 직면한다. 범죄피해자보호기금은 국가가 피해자 보호 의무를 실질적으로 이행할 수 있는 재원으로 피해자가 범죄 이전의 삶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회복적 정의(restorative justice) 실현 수단이다.

이에 이번 『Data & Law』에서는 헌법 제30조가 보장하는 범죄피해자 구조권을 중심으로 범죄피해자보호기금과 구조금, 지원기관 운영 현황 등 관련 데이터를 살펴보고, 관련 법률과 제22대 국회에 계류 중인 법률안을 소개했다.

범죄피해자보호기금은 「범죄피해자보호기금법」 제4조에 따라 집행된 벌금의 8%, 구상금, 후원금, 기금운용 수익금으로 조성되는데, 기금 예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사업비는 직접사업비(범죄피해구조금·치료비·생계비 등)와 간접사업비(범죄피해자지원센터, 스마일센터 등의 운영을 위한 인건비, 시스템 구축 등)로 나눠서 운용하고 있다.
범죄피해구조금은 고의범죄로 인한 사망·장해·중상해 피해자에게만 지급되는데, 최근 7년 평균 강력범죄 발생 건수는 연간 약 24,000건이지만 실제 구조금 지급 건수는 약 200건으로 전체의 1%도 되지 않는 수준이다. 재산범죄는 2018년 44만 6천 건에서 2024년 60만 5천 건으로 약 35% 증가했지만, 재산상 피해가 발생하거나 과실에 의한 범죄 행위는 범죄피해구조금 지원 대상에서 규정상 제외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각 지역 범죄피해자지원센터를 통해 범죄피해자 본인을 포함해 그 배우자(사실혼 포함), 직계친족 및 형제·자매 등을 위한 상담·법률·의료·주거지원 등을 제공하고 있는데, 2024년 센터 예산에서 국고보조금 비율이 약 22%로, 그 외 예산은 지방보조금, 센터회비, 후원금으로 충당되고 있다.

또한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우울증 등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경우 스마일센터를 통해 심리·법률·사회·임시주거 지원을 제공하고 있는데, 스마일센터 예산은 지난 2020년 13,586백만 원 대비 2024년 8,335백만 원으로 약 38.6% 감소했다.

허병조 국회도서관 법률정보실장은 “이번 『Data & Law』가 범죄피해자 보호 재원인 범죄피해자보호기금 중심의 관련 현황과 한계를 알리고, 제도 개선을 위한 입법 및 정책 논의에 유용한 참고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끝>

2025.09.24

보도자료 더보기
아르고스뷰4호 정책과이슈 인천맨홀사건
1 / 3